농림지역의 농지는 농업인이 구입하는 것이 당연하지만 계획관리지역이나 주거지역의 농지는 농지의 기능보다 입지의 여건에 따라 가격이 결정된다.
따라서 투자에 관점으로 보면 주거지역의 농지나 계획관리의 지역의 농지는 농지여건보다 입지의 여건으로 입찰 가격 여부를 따져야 한다.
농지는 결국 농지연금?
농지경매에서 농지의 최종 목표는 농지연금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농지 경매에서 낙찰 이후는 농지를 제대로 농지로 만들 수 있느냐에 따라 농지의 가치가 달라진다. 농지의 소유권이 나뉘어진 것이라면 온전하게 소유권을 만들고, 농지가 기능을 할 수 없다면 농지의 외형을 갖추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농지연금의 가치도 오르고 농지의 기본 가격도 오른다. 무조건 농지연금만이 농지경매의 목표는 아니다.
저렴하게 농지를 매입하고 농지의 가치를 살릴 수 있다면 그 이후는 해마가 조금씩 가격이 상승한다. 소액 농지 투자자들은 단기와 중. 장기 투자를 나누어서 투자하는 한다.
단기와 중. 장기 농지 투자에서도 예외없이 손실은 없어야 한다.
그래서 소액 경매에서는 특수물건이 더 인기가 있다.
지분 해결이 먼저?
소유권이 나뉘어진 경우에는 현장 농지를 확인하는 것보다 우선적으로 소유권 정리가 먼저다.
소유권 정리에는 상대방의 지분을 사는 방법, 같이 매매하는 방법, 내 지분을 상대방에게 파는 방법등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 어느 것이 가장 유리하고 어떤 방식에 공유지분 해결 전략이 더 주요한 지는 투자자의 선택이다. 하지만 지분 해결이 가장 처음 해결해야 하는 것이 당연하니 전략적으로 가장 유리한 협상을 생각해야 한다.